제사정보
01 |
분향강신(焚香降神) 하늘과 땅에서 조상의 혼백을 제사상 앞으로 모시는 절차이며, 주인(장자)혼자 분향하고, 술을 받아 모사 위에 세 번에 나누어 따른 후 잔과 잔대를 우집사에게 건네고 두 번 절한다. 하늘에서 조상의 혼을 모시기 위해서 분향하고, 땅을 상징하는 모사기에 술을 따름으로서 땅으로부터 조상의 혼을 모시게 된다. 이처럼 우리나라의 제의례 행위에는 하나하나의 아름다운 의미가 서려있으며, 선조들의 효(孝)와 지혜(智慧)가 담겨 있으므로 그 순서를 빼놓을 수 없다. 분향강신에만 모사기에 술을 따르고 초헌,아헌에는 퇴줏그릇에 술을 비운다.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모실 경우에는 “참신”을 먼저한다. 그 이유는 신주는 조상을 상징하고, 이미 조상의 혼이 임해 계시기 때문에 따로 조상의 혼을 모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. |
02 |
참신(參神) 제사에 참여한 사람들이 합동으로 강림하신 조상신에게 참배하는 절차로 첫 문안 인사로 두 번 절한다. |
03 |
초헌(初獻) 첫잔을 올리는 절차이며, 제사의 주인이 행하고, 두 번 절한다. |
04 |
독축(讀祝) 축문이란 제사를 받드는 자손이 제사를 받는 조상에게 제사의 연유와 정성스러운 감회, 그리고 간략하나마 마련한 제수를 권하는 글이다. |
05 |
아헌(亞獻) 두 번째 올리는 잔으로 주부(고인의 배우자,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의 배우자)가 행한다. (주부가 없을 때는 가까운 친척 순으로 하면 된다.) |
06 |
종헌(終獻) 마지막으로 올리는 잔으로 주인의 형제 중에서 연장자가 행한다. 종헌 후에는 술을 퇴줏그릇에 붓지 않고 그대로 둔다. |
07 |
유식(侑食) 신이 술을 다 드셨으므로 식사를 권유하는 절차이다. 그 순서는 ‘첨작-계반삽시-재배’이다. |
08 |
첨작 종헌 때 드린 술잔에 술을 가득 따르는 것이다. 첨잔이라고도 한다. |
09 |
계반삽시 밥그릇(메그릇)의 뚜껑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꽂는 것으로 수저의 바닥이 동쪽으로 가게 하여 꽂는다. 계반 삽시후 제사에 참여한 가족 모두 두번 절한다. |
10 |
합문(閤門) 조상신이 안심하고 식사를 할 수 있게 자손들이 잠시 자리를 피하는 의식이다. 오늘날에는 ‘합문’,‘개문’ 의 절차에 가가례(家家禮)에 따라 의견이 분분함으로 가가례에 따라서 행하면 될 것이고, 두 절차를 생략하고 자손들이 잠시 그 자리에 부복하여 대기해도 무방다. |
11 |
개문진다(開門進茶) 헌다(獻茶)라고도 하며, 닫았던 문을 다시 열고 들어가 차를 올리는 절차이다. 우리나라에서는 숭늉을 일반적으로 쓴다. 국(갱)을 숭늉으로 바꿔 드린 후 밥(메)을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고 젓가락(저)을 바르게 놓는다. 수저의 손잡이는 서쪽을 향하게 한다. |
12 |
철시복반(撤匙復飯)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둔 다음 밥그릇(메그릇)에 뚜껑을 닫는 것을 말한다. |
13 |
음복(飮福) 제사를 지낸 사람이 조상신으로부터 복을 내려 받는 의식이다. |
14 |
사신(辭神) 신을 보내는 마지막 작별 인사이다. 참여자 모두 두 번 절한다. |